Surprise Me!

[여랑야랑]사라진 멸공 / 탄핵전야 / 관계자 출입금지

2022-10-02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윤수민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국군의 날 기념식이 배경인데요. 뭐가 사라졌다는 거죠?<br> <br>바로 멸공입니다. <br> <br>멸공의 횃불은 시청자분들도 잘 알고 계시는 군가일텐데요. <br> <br>어제 열렸던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는 승리의 횃불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됐습니다. <br> <br>실제 가사 자막도 이렇게 표기됐는데요. <br><br>"전우여 내 나리는 내가 지킨다 승리의 횃불 아래 목숨을 건다" <br><br>Q. 분명히 군인들이 부르는 건 멸공의 횃불인데, 자막에는 승리의 횃불이라고 소개되었네요. 방송국의 자막 실수같기도 하고요? <br><br>답부터 말씀드리면 자막 실수는 아닙니다. <br> <br>국방부에서 중계 주관 방송사에 멸공을 승리로 표현해 달라고 요청했고, 이에 따라 일부 방송사에서 멸공 대신 승리로 자막을 내보낸 겁니다. <br><br>행사를 주관한 국방부는 "멸공은 오래 전부터 우리 군이 북한에 대해 써왔던 용어"라며 "외빈과 외국군 대표를 배려해 멸공 대신 승리라는 표현을 썼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실제 해당 행사에는 중국, 베트남 등 공산주의 체제 국가의 외빈들도 초청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Q. 외빈들 때문에 멸공이라는 단어는 예민할수 있겠군요. 앞서 문재인 대통령 때는 어땠었죠? <br><br>문재인 정부 때는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멸공의 횃불을 부르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대신 각 군의 군가인 육군가, 해군가, 공군가, 그리고 나가자 해병대 이렇게 4곡을 주로 불렀습니다. <br><br>Q.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네요. 우리 국군의 군사과학기술을 소개하는 영상에서는 중국 장갑차가 등장했다고요? <br><br>문제는 행사 말미에 '국군의 결의'라는 제목의 영상을 상영하는 장면에서 나왔는데요. <br><br>육군 소개 부분 영상을 자세히 보시면요.<br><br>우리군의 무기가 아니라 중국군의 장갑차가 3초 정도 나옵니다. <br><br>국방부는 오류를 인정하며 "사전에 걸러내지 못한 점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"고 사과했습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입니다. '탄핵전야' 홍준표 대구시장이 탄핵전야 같다는 말을 했어요? <br><br>네 어제 저녁 SNS에 올린 글에서 요즘 "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전야" 같다며 "내부를 흔드는 탄핵 때 같은 세력이 또 있다는 느낌이 든다"고 했습니다.<br><br>또 "개혁적이지도 않은 사람들이 입으로만 개혁보수 타령 그만하라"고 지적 했습니다.<br> <br>최근 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과 관련해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대응을 비판한 유승민 전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<br>[유승민 / 전 국민의힘 의원] <br>"바이든이냐 날리면이냐를 가지고 온 국민이 청력 테스트를 하는 이런 상황이… 국민들을 개돼지로 취급하는 코미디같은 일은 당장 중단하고…" <br><br>Q. 김기현 의원은 대응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며 자제를 당부하기도 했었죠. 유 전 의원의 반응이 어떤가요? <br><br>유승민 전 의원도 오늘 SNS에 글을 올렸는데요. <br><br>개혁 보수타령 지겹다는 말을 의식한 듯 "개혁보수 지지"라는 글과 함께 최근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를 공유했습니다. <br><br>차기 당권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. 사실 그런데 윤 대통령에게 날을 세우는 사람하면 이준석 전 대표가 대표적이잖아요. 요새는 좀 뜸한거 같네요? <br><br>이준석 전 대표는 최근 친윤계 일부 의원들에게 화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><br>SNS에 영남 지역 일부 의원들을 냄비 속 개구리에 빗대기도 했는데요.<br> <br>냄비 속 개구리가 물이 서서히 온도가 높아지면 뜨거운 줄도 모른다는 의미로, 위기 상황인지도 모른다고 비판한 겁니다. <br><br>Q. 이번주 이준석 전 대표는 운명의 한 주를 앞두고 있죠?<br> 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법원이 4일 이후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에 대한 결정을 내릴 예정이고요. <br> <br>국민의힘 윤리위도 오는 6일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 심의를 진행합니다. <br> <br>당내에서는 최대 제명까지 거론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 대표는 이승만 정권 시절 '사사오입 개헌'을 언급하며 최근 국민의힘 움직임에 불편한 감정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Q. 마지막 주제입니다. 국정감사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는데요. 그런데 각 의원실마다 관계자 출입금지 안내문을 붙였다고요? <br><br>네, 의원회관 사무실 앞에 가보면요. <br><br>복지부 협력관 출입금지, 법무부 관계자 출입금지 등의 종이들이 붙어 있습니다. <br><br>Q. 왜 이렇게 안내문을 붙여 놓은건가요? <br><br>네, 하도 피감기관 관계자들이 소속 상임위 의원실을 찾아가서, 사정을 봐달라며 이런저런 해명을 하다보니 이런 출입금지 문구까지 붙은 겁니다. <br> <br>실제 국정감사를 앞둔 피감기관만 783곳에 달하는데요. <br> <br>의원실 찾아가 읍소하기 보다는 제대로 국정감사를 받고, 잘못된 점은 고치는게 필요할 거 같습니다. (당당하게)

Buy Now on CodeCanyon